#1 익명
신고 삭제
한미일 지도자들 지지율이 좀처럼 오를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세 명 몫을 다 합쳐도 100%가 될까 말까 하는 현상이 근 2년째 지속되고 있다. 근본적으로 고물가 등 경제 위기 탓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셋 합쳐도 100% 미달

17일 국내외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은 20%~30%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10%~20%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30% 중반을 기록하면서 세 명의 합산 지지율이 100%이 안 된다. 이러한 현상이 약 2년간 이어지면서 한미일 정상의 지지율을 합쳐도 100%가 되는 날을 찾기 어려워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각종 여론조사에서 20%~30%를 기록 중이다. 한국갤럽과 전국지표조사(NBS) 조사는 20%대 중후반에서 움직이고 있고, 그나마 리얼미터(응답률 2.6%, 표본오차 ±2.2%포인트·신뢰수준 95%)에서 30%를 기록 중이다. 한국갤럽과 NBS 조사에서는 취임 후 최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갤럽(응답률 11.2%, 표본오차 ±3.1%포인트·신뢰수준 95%)에서 취임 2년 무렵 24%를 기록한 윤 대통령은 제6공화국 출범 후 취임 2주년 가장 낮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내각의 지지율은 20%대 안팎을 기록 중이다. 가장 최근에 나온 지지통신이 10~13일 조사에 발표한 조사에서 기시다 내각 지지율은 18.7%로 집계됐다. 그나마 이는 전달과 비교해 2.1%포인트 오른 결과다. 올해 지지통신 조사에서 기시다 내각 지지율은 한 차례도 20%를 넘지 못했다. NHK 조사에서는 그는 올해 내내 20%대 초중반을 기록 중이다. 마이니치신문이 지난 2월 조사한 결과에서 기시다 내각 부정 평가율은 82%로 7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나마 사정이 나은 것은 조 바이든 대통령으로 30%대 중후반을 기록 중이다. 그러나 연임에 도전하는 그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대부분 경합주에서 밀리는 모습을 보이는 등 열세다. 부정 평가는 대부분 여론조사에서 50%대 후반에서 60%대 초중반에서 움직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경제' + a

근본적으로는 고물가 등 경제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바이든 대통령의 '데드크로스'(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앞서는 현상)가 공고해진 것은 2022년 초부터다. 윤 대통령은 취임 후 2개월 뒤인 5월부터, 기시다 총리는 같은 해 7~8월부터 같은 현상을 겪기 시작했다. 시차는 있지만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박이 전세계적으로 2022년부터 가시화됐다는 점에서 고물가가 한미일 지도자 지지율에 근본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추석 이후 약 8개월간 윤 대통령의 부정 평가 이유 1위로 '경제/민생/물가'가 매주 꼽히고 있다. 오죽하면 지난 4.10 총선에서 '대파' 가격이 정치적 논쟁거리가 되기도 했다.

기시다 내각의 낮은 지지율도 경제 문제가 크다는 진단이다. 일본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 대비 0.5% 감소해, 이러한 추세가 1년간 지속되는 것으로 가정하는 연간 실질 성장률은 마이너스 2.0%로 추정됐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민간 소비가 4분기 연속 마이너스인 것은 리먼브라더스 사태에 휩쓸린 2008~2009년 이래 15년만"이라고 전했다. 최근 지지통신 조사에서는 일본인 유권자 43.9%가 정권 교체를 바란다고 응답했다. 이는 '자민당 중심의 정권 지속을 기대한다'는 33.2%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바이든 대통령도 경제 때문에 정권을 다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내줄 위기에 처해있다. 최근 파이낸셜타임스(FT)-미시간 로스 여론조사에서 유권자의 80%는 "높은 물가가 가장 큰 재정적 어려움 중 하나"라고 답했다. FT는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을 노리는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전망이 인플레이션에 대한 두려움으로 불투명해졌다"고 보도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경제 처리에 대해 반대한다"는 유권자는 전달 대비 3%포인트 늘어난 58%를 기록했다.

추가적인 악재는 저마다 다르다. 윤 대통령의 경우, 김건희 여사 리스크 등이 있다. 영국 BBC는 지난 1월 "한국 영부인의 디올백이 국가 리더십을 흔든다"라고 보도하는 등 외신에서도 김 여사 관련 리스크가 대통령 지지율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이밖에는 인사, 외교가 그간 지지율 하락을 견인한 바 있다.

기시다 총리는 최근 일본 집권 자민당의 '비자금 스캔들'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고령' 논란이 지속되면서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80% 안팎의 유권자가 바이든 대통령이 다음 임기를 수행하기에는 너무 나이가 많다는 응답을 내놨다는 결과도 나왔다.
추천
댓글확인

날짜 제목 작성자 댓글 조회수 추천
24.06.01 뉴진스님, 싱가포르 공연 무산…“뉴진스님이 ‘불교 요소 제외’ 요구 거절”
익명 24.06.01 17:24:52 40 1
24.06.01 진리의 플까흥
익명 24.06.01 17:14:05 49
24.06.01 안사장님 이번달도 치킨 부탁합니다 이번달은 25마리로 ㅎㅎ 2
익명 24.06.01 17:10:16 54 1
24.06.01 스승님
익명 24.06.01 17:00:02 35 2
24.06.01 일본에 헌납할 준비가 된 룬정부! '일본 개황' ‘역사 왜곡 발언’ 통삭제! 일본 자위대도
익명 24.06.01 16:38:23 23 2
24.06.01 조선일보 "대통령은 이재명, 능력있다ㅠ"... 충격적 1면 극찬!! 그들이 잼대표에 놀란
익명 24.06.01 16:37:22 30 2
24.06.01 양문석 저격에 발끈한 586 우상호, 이게 민주당 일부 정치인의 기득권 지키기 속성 아닌가
익명 24.06.01 16:36:55 25 2
24.06.01 PC방에 간 그녀 8
익명 24.06.01 16:36:54 128 2
24.06.01 연어 새끼들 콘크리트충이었냐? 눕방인데도 142명? 3
익명 24.06.01 16:25:07 90 1
24.06.01 일본에서 촬영된 , 2찍 윤석열 닮은사람.jpg 4
익명 24.06.01 16:17:57 92 3
24.05.31 완장질 시키다 방송 쳐망했으면서 2
익명 24.06.01 16:14:36 188 6
24.06.01 인도 방송 요약짤 3
익명 24.06.01 16:12:34 111 3
24.06.01 여행동근이 속마음 ㅋㅋ
익명 24.06.01 15:44:17 69 2
24.06.01 이번 군 사망사건 나도티비에 제보하자
익명 24.06.01 15:35:42 59
24.06.01 머 이딴 새끼가 다 있냐?
익명 24.06.01 15:32:07 56 1
24.06.01 바베 야방 중인데 왜 거인새끼 안 따라갔냐
익명 24.06.01 15:02:02 51 1
24.06.01 안사장 와무우한테 치킨 10마리만 주고 나머지 10마리는 플판에 뿌리소 1
익명 24.06.01 14:59:47 57 1
24.06.01 새벽 초밥 먹쇼를 한 왜무우. gif 2
익명 24.06.01 13:43:49 80 3
24.05.31 광명 이재명 방송공지 ㄷㄷㄷㄷㄷㄷ. jpg 5
익명 24.06.01 13:39:44 225 3
24.06.01 오이시 초밥 데쓰요 2
익명 24.06.01 13:36:11 69 1
24.06.01 인도왕 방송켰다~ 3
익명 24.06.01 13:15:00 108 1
24.06.01 카카오피디 꼬미 4
익명 24.06.01 13:14:53 152
기본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