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익명
신고 삭제
뉴욕에서 런던, 도쿄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주식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고금리에도 불구 경제 호조 및 기업실적이 예상보다 탄탄하게 나오는 가운데 통화정책 변경 가능성까지 더해지면서 이들 국가에 대한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글로벌 증시 랠리에 한국만 소외받고 있는 상황이다.


금리인하 기대감 다시 커지며…다우지수 4만선 넘어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글로벌 20대 증시 중 14개가 최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선진국 및 신흥국 시장을 추적하는 MSCI ACWI지수는 지난 17일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했다.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도 지난 17일 사상 처음으로 4만선을 돌파한 가운데, S&P500지수와 나스닥100지수가 지난 15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럽, 캐나다, 브라질, 인도, 일본, 호주의 주요 증시도 최고치 또는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다.


뉴욕증시가 활활 불타오르고 있는 것은 올해 말 금리 인하가 시작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지난 2년간 시장을 괴롭혔던 인플레이션이 둔화 조짐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고금리에도 경제는 강세를 유지하고 있고 기업 실적도 탄탄하면서 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이다. 월가에서는 연방준비제도(연준)이 이르면 9월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베팅하고 있다.


여기에 인공지능(AI)이 가져올 생산성 혁신에 대한 기대도 그 어느 때보다 커진 것도 증시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AI칩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엔비디아는 올 들어 91.99% 상승했다. S&P500지수 상승의 약 4분의1을 기여했고,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닷컴, 메타플랫폼, 알파벳까지 더하면 5개 종목은 S&P500지수 상승의 절반 정도를 이끌었다.


JP모건 자산운용의 조던 잭슨 전략가는 “연준은 올해 어느 시점에 금리를 인하할 것이고, 기업실적은 강세를 보이고 있고, 소비는 살짝 둔화하고 있지만 잘 버티고 있다”며 “앞으로 주가는 5~10% 더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살만 아메드 피델리티 글로벌 거시경제 및 전략적 자산배분부문 대표는 “거시적 관점에서 위험 신호는 거의 없다”면서 “경기 순환 그림은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고, 랠리가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美보다 금리인하 빨리…런던·프랑스·독일 지수 나란히 최고치


유럽 주요 증시도 사상 최고치를 이어가고 있다. 범유럽 스톡스(stoxx)600지수, 런던FTSE100지수, 프랑스CAC40지수, 독일 DAX지수는 지난 15일 일제히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유럽은 미국과 달리 경기침체 가능성이 나오면서 물가상승률이 빠르게 둔화했고, 미국보다 먼저 금리 인하를 시작할 가능성이 크다. 시장에서는 유럽중앙은행(ECB)가 올 여름께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BNP파리바의 조지데바스 전략가는 “예상했던 실적 부진이 우려했던 것보다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유럽 기업의 4분의 3이 시장 기대치를 충족하거나 웃돌았고, 마진이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대규모 광업기업을 보유한 캐나다 증시도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캐나다증시는 지수의 12% 정도를 광업부문이 차지하고 있는데, 최근 금과 구리값이 치솟으면서 이들 기업의 주식도 덩달아 올랐다.


일본 증시도 지난 3월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닛케이지수는 지난해 28% 상승한 데 이어 올해 16%가량 올랐다. 엔화 약세와 수출 기업 실적 개선, 탈(脫)중국에 따른 반사 이익, 주주 환원 정책 등 호재가 증시 상승세를 이끌었다. 다만 최근 엔화가치가 지나치게 급락하면서 환차손 우려에 외국인 투자가 일부 빠져나갔다.


블랙록은 “엔화 하락이 지속하면 외국인 투자자들을 주저하게 만들 수 있다”면서도 “기업 지배구조 개선, 국내 투자, 임금 상승으로 인해 장기적으로는 전망이 좋다”고 평가했다.


인도 역시 정부의 투자 공약과 경제 확장에 힘입어 벤치마크 지수인 S&P BSE 센섹스 지수는 지난 4월10일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강세를 보이고 있다. 호주의 S&P·ASX 200 지수는 3월 28일 인플레이션 데이터로 금리가 정점에 도달했다는 베팅이 강화된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1년 6월 최고점 회복 못한 韓…밸류업 프로그램 효과 관건


반면 사상 최고치를 다시 쓰고 있는 미국과 일본 등 글로벌 주요국 증시의 강세와 비교해 우리 증시의 오름세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코스피는 2021년 6월25일 기록한 3302.84를 아직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기업 가치 제고와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해 밸류업 프로그램을 가동시키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성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추천
댓글확인

날짜 제목 작성자 댓글 조회수 추천
24.06.11 김나도방 날리남 5
익명 24.06.11 15:56:31 226 5
24.06.11 개역겨운 새끼들 3
익명 24.06.11 15:52:42 97
24.06.11 'RE100'의 경고‥"한국, 세계 시장 잃을 수도" (2024.06.11/뉴스투데이/MB
익명 24.06.11 15:05:33 38
24.06.11 청정수소 100% 확보에 더 가까이‥ 한국에너지공대-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 눈길
익명 24.06.11 15:03:41 29
24.06.11 오송 참사 국정조사 '재시동'.. 꿈쩍하지 않는 여당
익명 24.06.11 15:03:03 53
24.06.11 [오늘 이 뉴스] "여사권익 위원회냐..참 쉽다 내 딸사건 보라" 폭발한 조국
익명 24.06.11 15:02:34 26
24.06.11 우리은행 이번엔 대리가 100억 횡령‥금감원 현장 조사
익명 24.06.11 15:02:06 56
24.06.11 동해 가스전 논란 진화 나섰지만…산업부 석연찮은 해명
익명 24.06.11 14:44:20 58
24.06.11 법원, KBS 감사실 물갈이에 “독립성 침해 우려”…박민 인사조치 첫 제동
익명 24.06.11 14:38:14 46
24.06.11 VIP 격노설 인물 관계도
익명 24.06.11 14:25:39 59 1
24.06.11 '푸바오' 재회 D-1…공개 소식에 분주해지는 국내 팬들 2
익명 24.06.11 14:23:01 70
24.06.11 액트지오에 ‘세계 최고’ 수식 붙인 尹, 설익은 발표로 문제 키워”
익명 24.06.11 14:21:34 29
24.06.10 1일 1배너 클릭 운동 2
익명 24.06.11 13:56:01 135
24.06.11 ㅇㅁㅇ 정모 보니깐 ㅇㅁㅇ가 독보적으로 잘생겼네 5
익명 24.06.11 13:49:52 156 1
24.06.11 '토요타 부정' 일파만파…日정부 "한국, 유럽 등 해외 기준 위반 가능성"
익명 24.06.11 13:42:21 46 1
24.06.11 킹무우 형님 초대박 스케줄 떴다!!!!!!!!!!!!!!!. jpg 3
익명 24.06.11 13:29:42 169 2
24.06.10 내일은 국대축구가 있습니다 22
익명 24.06.11 13:29:12 385 3
24.06.11 딸보 날리남 1
익명 24.06.11 13:19:06 62
24.06.10 속보) 베트남욍 7
익명 24.06.11 13:08:23 345 4
24.06.11 여름철 대비 필수가전 모음집
익명 24.06.11 12:46:05 45
24.06.11 배현진 "나 김정숙여사 밥값 말한적 없다" 3
익명 24.06.11 12:24:38 108 3
24.06.11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황우여 "당대표는 임금, 부대표는 세자"
익명 24.06.11 11:50:46 42 2
기본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