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익명
신고 삭제
【 앵커멘트 】 2년 뒤 사람만 다닐 수 있게 변신하는 한강 잠수교에 분홍색 공중 보행로가 설치된다고 서울시가 발표했었죠. 그런데 건설 토목전문가들이 이건 실현 불가능한 디자인이라고 지적하고, 허가권을 가진 한강유역환경청도 갸우뚱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강서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기자 】 지난 10일 서울시가 발표한 2026년 바뀔 새 잠수교 디자인입니다.


한강 수면 14.7m 위에 설치될 짙은 분홍색 공중 보행로가 핵심입니다.


발표 직후부터 '핫핑크 보행로'는 실현 불가능한 디자인이라는 지적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옵니다.


먼저, 건설기술진흥법 하천설계기준에 따르면, 한강 수면 위 구조물은 계획홍수위보다 2m 이상 높은 곳부터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한강의 계획홍수위는 16.1m.


따라서, 보행로는 18.1m 보다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게 원칙입니다.


▶ 인터뷰(☎) : 조경식 / 한국토목구조기술사회장 - "홍수가 올 때 물에 잠긴다는 얘깁니다. (보행로와 떠내려온 잔해가) 물살을 막아요. (강의) 수위가 높아지게 됩니다. 지금 제방고보다 더 높아질 수도 있고."


문제는 규정대로 보행로를 18.1m 이상 높이에 만들면 현실적으로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잠수교 위에 있는 반포대교 하단까지, 가장 높이 차이가 큰 곳이 19.8m에 불과합니다.


결국 남은 1.7m 공간에 보행로 데크를 설치하면 성인 남성 평균 키에도 미치지 못해 걸어다닐 수가 없습니다.


▶ 스탠딩 : 강서영 / 기자 - "잠수교 최고 홍수위인 14m 지점을 나타내는 막대입니다. 데크는 적어도 약 4m 위에 설치해야 하는데 한눈에 봐도 공간이 부족해 보입니다."


설치 허가권을 가진 한강유역환경청도 부정적인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 인터뷰(☎) : 한강유역환경청 관계자 - "시설물이 계획홍수위(16.1m) 하단부로 자꾸 들어오면 제방이나 이런 걸 또 쌓아야 되는 상황이… 이게 단순히 시설 하나 설치하는 게 아니에요."


서울시는 아이디어 차원의 디자인이었을 뿐이라며 전문가와 최종 설계 방향을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공모전 상금에만 5억 원을 이미 지출했습니다.
추천
댓글확인

날짜 제목 작성자 댓글 조회수 추천
24.06.23 고시합격생이 선호하는 필기구 1
익명 24.06.23 19:41:15 178
24.06.23 고블린 저렇게 인싸 습격을 두려워하는데 1
익명 24.06.23 21:43:40 164 3
24.06.23 "요즘 전주 밤거리 무섭다"…툭하면 패싸움, 빅3 조폭 전성시대 1
익명 24.06.23 19:20:05 152 1
24.06.23 고블린 신고해야된다 1
익명 24.06.23 21:42:00 174 1
24.06.23 손정의 두창아 라인 잘먹을께 ㅋㅋㅋ
익명 24.06.23 19:07:01 150 1
24.06.23 딸보 풍사비어 재출현 ㄱㄱ 7
익명 24.06.23 21:33:18 234 2
24.06.23 2찍 강원도 최근 근황 ㅋㅋㅋ 4
익명 24.06.23 19:20:52 210 4
24.06.23 결국 김호중 음주 운전은 사실상 무죄네 ㅋㅋㅋ 1
익명 24.06.23 19:13:12 188 3
24.06.23 미분양 아파트 폭탄 세일에 화난 분양자들의 개소리 ㅋㅋ 3
익명 24.06.23 21:40:23 179 4
24.06.23 백화점이 식품관에 공들이는 이유 2
익명 24.06.23 18:11:55 189 2
24.06.23 망시 의자왕 방송<<< 와무우가 봤다 안봤다
익명 24.06.23 17:43:53 153 1
24.06.23 종부세 폐지 때문에 난리난 지자체 3
익명 24.06.23 18:27:15 197 3
24.06.23 와무우 반응이 기대가 됩니다
익명 24.06.23 17:29:45 154
24.06.23 사귀자마자 "성관계 요구" 같은 아파트 청년 만났다가.. 1
익명 24.06.23 17:41:05 242
24.06.23 플판러 뜨끔 1
익명 24.06.23 18:23:38 200 2
24.06.23 프랑켄도 고블린이 하도 척을 지니깐 4
익명 24.06.23 21:43:16 246 7
24.06.23 딸보 난리남 ㄷㄷ
익명 24.06.23 17:13:49 148
24.06.23 국짐당과 윤두창 밀어준 부산 산업도 인구도 말라간다. 1
익명 24.06.23 19:09:59 171 4
24.06.23 민영방송 사유화’ 맞섰던 이훈기 “공영방송 민영화 되면 언론계 사형선고와 같다”
익명 24.06.23 17:07:45 144 1
24.06.23 고블린 : 저쪽으로 가기 무섭다 1
익명 24.06.23 17:10:31 166 2
24.06.23 찬복이 무슨일 있는거 아님?
익명 24.06.23 16:56:28 167
24.06.23 찬복이 방송 잘하겠다고 하더니
익명 24.06.23 16:55:27 174
기본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