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익명
신고 삭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9일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김건희 여사가 300만 원 상당의 명품백을 선물로 받은 데 대해 처음으로 사과했다. 윤 대통령은 “제 아내의 현명하지 못한 처신으로 국민들께 걱정 끼친 부분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하지만 사과로 끝나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서 나왔다. 두 신문은 사설을 통해 대통령실이 속히 특별감찰관을 임명해 가족 문제를 감시관리해야 한다고 일제히 주문했다.

이런 가운데 강천석 조선일보 논설고문(전 주필)은 김 여사 연줄로 들어간 대통령실 비서관행정관을 모두 용산에서 내보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통령 임기가 3년이나 남은 시점에서 김 여사를 향한 보수진영의 '근심'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조선일보는 10일자 <尹 '부인 처신' 뒤늦은 사과, 부인 문제 재발 방지가 관건> 사설에서 9일 기자회견에 대해 “김건희 여사 명품백 의혹에 대해 처음으로 사과했다”고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김 여사의 명품백과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 특검에 대해 '정치 공세'라며 거부했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김건희) 주가조작은 문재인 정부에서 특수부까지 동원해 2년 넘게 수사하고도 기소하지 못했던 일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김 여사의 잘못된 처신이 거듭되고 윤 대통령이 이에 잘못 대처하면서 국민들 의구심과 반감이 커졌다. 앞으로 이 문제는 계속 현안이 될 우려가 크다”고 전망했다.

조선일보는 “무엇보다 윤 대통령은 다시는 김 여사 문제가 재발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문제가 재발하면 심각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당장 불편하더라도 특별감찰관을 임명해 내부 감시 체제를 만드는 것이 결과적으로 나을 것”이라고 주문했다.

동아일보도 11일자 <尹 '명품백' 사과…당장 특별감찰관 임명해 진정성 보여줘야> 사설에서 “사과는 사과로 끝나서는 안 되며 재발 방지책이 뒤따라야 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재발 방지책 중 하나가 법적으로 임명하도록 돼 있는데도 지키지 않고 있는 특별감찰관을 임명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신문은 “특별감찰관 임명은 대선 공약 중 하나다. 제2부속실이 다시 생길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특별감찰관이라도 하루속히 임명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동아일보는 “특별감찰관 자리는 박근혜 정부 4년 차인 2016년 당시 이석수 특별감찰관이 우병우 민정수석비서관을 겨냥한 감찰을 했다가 충돌을 빚은 이후 8년 가까이 비어 있다. 윤 대통령이 취임 직후 공약대로 특별감찰관을 임명했더라면 김 여사 명품백 사건을 6개월이나 방치하다가 뒤늦게 검찰이 나서 수사하게 되는 사태는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강천석 조선일보 논설고문은 11일자 <부인 연줄 비서관·행정관 '용산' 밖으로 내보내야> 칼럼에서 “사과는 '잘못 인정' '반성' '재발 방지 제도 도입'의 세 요소로 구성된다. 이번 대통령 사과는 첫째 요건, 넓게 보면 둘째 요건도 포함된 발언이다. 그러나 핵심인 재발 방지 제도 개선이 빠졌다. 특별감찰관 임명은 이번에도 거론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강천석 논설고문은 “대통령이 일하는 곳, 사는 곳을 구중궁궐이라 부르던 것은 옛일이다. 용산 시대 대통령 환경은 안에선 밖을 내다보지 못해도 밖에선 안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유리 어항”이라며 “비서실에 대통령 부인 연줄로 들어온 비서관·행정관이 꽤 된다고 한다. 그 명단이 오래전부터 나돌았다. 입 밖에 내지 않아서 그렇지 공인된 비밀”이라고 했다.

그는 “이 상황인데 회의에서 '부인 문제'를 누가 꺼낼 수 있겠는가. 논의도 못 하는데 대통령에게 보고할 용기를 누가 내겠는가. 설혹 한 번 용기를 냈더라도 대통령이 이마를 찌푸리는데 다시 보고할 바보가 세상 어디에 있겠는가. 보고도 받지 못한 대통령이 어떻게 그 상세한 내용을 알겠는가”라며 대통령실이 김 여사 측근들에 의해 대통령 가족 문제를 관리하거나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강천석 논설고문은 “대통령이 바뀔 것이라고 믿고 싶은 국민들은 대통령의 좋은 변화를 뒷받침할 물증을 원한다. 부인과 선을 대고 있는 비서관·행정관을 내보내는 건 중요한 물증이자 대통령실 정상화를 향한 큰 걸음”이라고 썼다. 사실상 '김건희 라인'을 모두 내쫓으라는 이 같은 강경 주문은 여당이 총선에서 참패하고 윤 대통령이 1987년 민주화 이후 2년 차 대통령 중 역대 최저 지지율을 기록한 상황에서 '김건희 리스크' 관리가 안 되면 5년 임기를 채울 수 없을지 모른다는 일각의 전망 탓으로 풀이된다.
추천
#2 익명
24.05.11 14:52:44 신고 삭제
진짜 자기들이 왕과 왕비인줄 아나봄
#3 익명
24.05.11 15:30:47 신고 삭제
삭제된 댓글입니다.
댓글확인

날짜 제목 작성자 댓글 조회수 추천
오늘 속보)태국왕 5
익명 4 시간 전 135
오늘 베트맨방 난리남
익명 4 시간 전 24
오늘 김나도방 날리남 6
익명 4 시간 전 231 2
오늘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인권위원회에도 개입 1
익명 4 시간 전 28 4
오늘 와무우 게임회사 몇년다님?
익명 4 시간 전 38 1
오늘 내일 광명간다..... 1
익명 4 시간 전 61 1
오늘 경기도 화성 배터리 공장 화재 1명 사망 23명 실종 1
익명 5 시간 전 30
오늘 딸보 시청자 태국왕한데 다 빨렸었네 ㅋㅋ
익명 6 시간 전 69 1
오늘 경기 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 1
익명 6 시간 전 45 2
오늘 초부자 감세한 윤석열 정부, 부가세 인상 만지작 1
익명 6 시간 전 40 2
오늘 "문체부 유인촌 장관, 체육계 분열·이간" 韓 체육회경기단체연합회 성명서
익명 6 시간 전 24 1
오늘 오늘부로 썩은 비린내 나는 연어의 플판 출입을 금지한다 1
익명 7 시간 전 64 1
오늘 태국왕 개꿀잼이네
익명 7 시간 전 61 1
오늘 '윤재앙 탄핵 청원,,, 하루만에 10만명 돌파' .news 5
익명 7 시간 전 74 7
오늘 성훈이 같은 레전드 방송인이 안보인다 7
익명 7 시간 전 100 4
오늘 ‘중간재’ 대중 수입으로 한국 제조업 오히려 이득 봐
익명 7 시간 전 24 1
오늘 돼지 냉면 10그릇 푸파 방송 ON
익명 7 시간 전 33
오늘 무주 노잼왕 개닥구 10,000개 돌파 3
익명 7 시간 전 63 1
어제 벌금 200이 대수냐 14
익명 8 시간 전 323 7
오늘 윤석열 군인 참사,,, 이 와중에 ‘깔깔깔’… 140만 유튜버 ‘군인 조롱’ 파문.news
익명 8 시간 전 35 3
오늘 올림픽 선수를 해병대로 강제입소 시킨 윤재앙 성과.jpg 5
익명 8 시간 전 79 3
오늘 2찍 쪽바리 찢.... 강남역에 각시탈 등장.sns 2
익명 9 시간 전 49 4
기본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