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경기둔화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5%에 그치고 설비투자와 건설투자의 경우 역성장을 할 것이란 분석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3일 ‘경제 동향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을 1.5%로 예상했다. 기존 1.9%에서 0.4%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한경연은 “연말 경기 위축 속도가 가팔라짐에 따라 전망치를 낮췄다”고 밝혔다. 지난 1월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석 달 전보다 0.3%포인트 낮춰 1.7%로 전망했다. 한경연의 경제성장률 예상치는 IMF보다 0.2%포인트 더 낮은 것이다
한경연은 글로벌 경기 둔화를 극복할 성장 모멘텀이 없어 올해 본격적인 불황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급진적인 긴축 기조를 지속하거나, 과도한 수준의 민간부채가 금융시장의 위기를 촉발할 경우 성장률 감소 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코로나19 사태에 과도한 재정지출로 정책적 지원 여력마저 떨어져 성장률 하향 전망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한경연은 내수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 소비가 2.4%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민간소비 성장률 4.4%보다 2.0%포인트 낮은 수치다. 고물가로 인한 실질 구매력 감소와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뿐 아니라 자영업자 소득감소와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소비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분석했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는 역성장을 예상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부문의 공격적 투자에도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본조달 비용 부담이 가중되며 2.5%, 건설투자는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공사 차질 등으로 0.5% 각각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 원자재가격이 상반기 이후 점차 안정되고 ‘강달러’ 현상도 완화되면서 지난해보다 1.7%포인트 낮은 3.4%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3일 ‘경제 동향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을 1.5%로 예상했다. 기존 1.9%에서 0.4%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한경연은 “연말 경기 위축 속도가 가팔라짐에 따라 전망치를 낮췄다”고 밝혔다. 지난 1월 국제통화기금(IMF)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석 달 전보다 0.3%포인트 낮춰 1.7%로 전망했다. 한경연의 경제성장률 예상치는 IMF보다 0.2%포인트 더 낮은 것이다
한경연은 글로벌 경기 둔화를 극복할 성장 모멘텀이 없어 올해 본격적인 불황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급진적인 긴축 기조를 지속하거나, 과도한 수준의 민간부채가 금융시장의 위기를 촉발할 경우 성장률 감소 폭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코로나19 사태에 과도한 재정지출로 정책적 지원 여력마저 떨어져 성장률 하향 전망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한경연은 내수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 소비가 2.4%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민간소비 성장률 4.4%보다 2.0%포인트 낮은 수치다. 고물가로 인한 실질 구매력 감소와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뿐 아니라 자영업자 소득감소와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소비가 크게 위축될 것으로 분석했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는 역성장을 예상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부문의 공격적 투자에도 금리 인상으로 인한 자본조달 비용 부담이 가중되며 2.5%, 건설투자는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공사 차질 등으로 0.5% 각각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 원자재가격이 상반기 이후 점차 안정되고 ‘강달러’ 현상도 완화되면서 지난해보다 1.7%포인트 낮은 3.4%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